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푸드뱅크 무료 식품 버젓이 노상 판매…생계 위해서 "어쩔 수 없다"

24일 오전 10시, 박모(76) 할머니가 LA 한인타운 윌셔 불러바드와 버몬트 애비뉴 교차로 버스정류장 앞쪽에 좌판을 깔았다. 벌써 6개월째다.   좌판은 마치 식품점을 방불케 한다. 통조림, 쌀, 콩, 라면, 각종 채소 등 다양하다.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을 오가는 사람들은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식품을 둘러본다.   특이하게도 모든 식품의 가격은 ‘1달러’다. 일부 한인을 비롯한 타인종들은 박 할머니의 좌판이 익숙한 듯 지폐 한 장을 건네고 필요한 식품을 집어간다.   박 할머니는 “푸드뱅크에서 무료로 받은 식품을 팔고 있다”며 “먹고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시작했다”고 말했다.   푸드뱅크는 저소득 주민들을 위해 기부받은 식품 등을 무료로 나눠주는 비영리 단체다.   일부 한인 시니어들이 푸드뱅크를 통해 받은 식품을 되팔고 있다. 푸드뱅크에 따르면 수혜자가 식품을 되파는 행위는 금지 규정에 해당한다. 문제는 생활고에 시달리는 저소득층이 이를 되팔면서 규정과 현실 사이에서 괴리가 있다는 점이다.   LA 한인회 등 한인 비영리 단체들에 따르면 푸드뱅크에서 무료로 지원되는 식품이 시중에 유통되는 정황은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윌셔 불러바드, 버몬트 애비뉴 등 노점상이 들어서는 곳에는 이렇게 무료로 지원받은 식품을 되파는 한인 시니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일각에서는 저소득층과 시니어가 푸드뱅크의 규정을 위반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반면 시니어 빈곤의 사각지대를 제대로 살펴야 한다는 목소리 역시 공존한다.   박 할머니의 경우 LA 한인타운에 산다. 일주일에 2~3번 정도 전철역 인근이나 골목길에서 좌판을 깔고 푸드뱅크를 통해 받은 식품을 판매하고 있다. 사정을 들어보면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박 할머니는 “이렇게 팔아도 하루 수입은 몇십 달러도 안 된다”며 “저소득층 보조금도 못 받아 생계 유지가 안 돼 이 일이라도 꼭 해야 한다”고 말했다.   푸드뱅크의 식품을 받기 위해서는 수령자가 ‘본인 또는 가족의 직접 소비용’ 및 ‘재판매 금지 조항’에 서명해야 한다. 다만 현장에서 제대로 된 단속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제프 이 LA 한인회 사무국장은 “푸드뱅크에서 식품을 나눠줄 때 수혜자 정보를 자세히 받지 않기 때문에 그 물품을 다시 판매한다 해도 사실상 단속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운영 기관들도 일부 재판매 사례가 있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이를 강하게 제지하지 않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 사무국장은 이어 “일부 사례를 이유로 식품 배포 자체를 중단할 수도 없고, 일부 저소득층 시니어들에게는 생계도 걸려 있는 문제라서 정답은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관련 규정은 준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재판매 행위는 지원이 절실한 다른 수혜자에게 불이익이 끼치고, 자칫 기부 시스템 전반에 대한 신뢰를 해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인 비영리단체 관계자는 “푸드뱅크에서 지원받은 물품을 되파는 한인 시니어들이 실제로 꽤 있다”며 “일부는 개인의 금전적 이익을 위한 경우도 많은데, 이런 행위는 정말 필요한 사람들이 제때 식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제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센서스국(Census)에 따르면 65세 이상 아시안 전체 빈곤율은 14.2%이다. 한인 시니어의 빈곤율은 23.2%(2021년 기준)로 집계돼 아시아계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 아시안아메리칸연합(AAF)이 발표한 자료(2023년 기준)에 따르면 LA 지역 한인 시니어 가구 중 은퇴연금을 수령하는 비율은 7.8%에 그쳤다. 이는 일반 시니어 가구(13.5%)나 다른 아시안 시니어 가구(18.2%)와 비교해도 현저히 낮은 수치다. 강한길 기자푸드뱅크 무료 한인 시니어들 재판매 행위 식품 배포 규정 위반 생활고 정부 지원금 생계 좌판 빈곤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한인타운

2025-04-24

푸드플레이션에 식품 무료 배포 인기

푸드플레이션이 심화하면서 OC한미시니어센터(회장 김가등, 이하 센터) 무료 식품 배포 행사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최근 들어 센터가 식품을 배포하는 날인 화요일이 되면 이른 아침부터 센터(9884 Garden Grove Blvd) 주차장 일대에 인파가 몰려 북적거린다.   김가등 회장은 “올해 초까지만 해도 하루 평균 160명이 식품을 받아갔는데, 한 달 전부터는 찾아오는 이가 240~250명으로 늘었다. 오전 9시부터 식품을 나눠주는데 8시면 이미 길게 줄을 늘어서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식품 배포 행사 참여자 증가 원인으로 푸드플레이션을 지목했다. 푸드플레이션은 푸드(food)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식품 가격이 올라 소비자가 더 많은 가격을 부담해야 하는 현상을 뜻한다.   센터 측은 OC 세컨드 하비스트 푸드뱅크가 제공하는 감자, 고구마, 오이, 호박, 양배추, 피망, 양파 외에 사과, 서양 배 등 과일, 과자, 파스타 국수와 소스, 통조림 등을 나눠주고 있다.   매주 화요일 식품 배포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박만순 수석부회장은 “최근 가격이 급등한 달걀 12개, 우유 1통도 준다.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냉동 닭고기도 나온다. 음식의 양도 2명이 일주일 동안 충분히 먹을 정도”라고 말했다. 이어 “무료로 나눠준다고 해서 식품의 질에 문제가 있는 건 절대 아니다. 단, 우유는 시판 제품보다 유통 기한이 짧기 때문에 서둘러 마시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식품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르다 보니 고정 수입에 의존해 사는 시니어와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은 저소득층에겐 무료로 나눠주는 식품이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센터 측에 따르면 식품을 받아가는 이들 가운데 약 20%는 타인종이며, 이 중 대다수가 베트남계다. 박 수석부회장은 “베트남계 사이에 입소문이 났는지 전보다 인원이 늘었다”고 밝혔다.   센터는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엔 또 다른 비영리기관 커뮤니티 액션 파트너십과 제휴해 주로 통조림을 나눠주고 있다.   모든 무료 식품 배포 행사는 오전 9시에 시작된다. 문의는 센터 사무국(714-530-6705)으로 하면 된다. 임상환 기자푸드플레이션 식품 식품 배포 무료 식품 화요일 식품

2025-03-06

교육·봉사·식품 배포 확대…한미노인회 프로그램 정비

OC한미노인회(회장 김가등)가 교육과 봉사, 식품 배포 횟수를 늘리는 등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다.   노인회 측은 최근 플로리다 주립대 대학원에서 비원어민 영어교육 강사 과정(TESOL)을 이수하고 한국 시사어학원에서 25년 간 강의한 최정규씨를 영어 전담강사로 초빙했다.   조셉 조 노인회 교육센터장은 “영어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싶은 이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늘 인기 있는 컴퓨터 강의 외에 기타, 컬러 스케치 반도 신설해 학생을 모집한다. 붓글씨, 사진 촬영 등 동호회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노인회는 봉사 프로그램도 정비하고 있다.   매주 월~금요일엔 소셜, 이민, 메디캘 업무 관련 상담 업무를 제공한다. 이 업무는 예약제로 운영된다.   매주 금요일 오전엔 현직 미용사가 출장 봉사한다. 커트는 5달러, 파마는 40달러다.   노인회는 최근 신 보청기(원장 신정현)와 업무 협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신 보청기는 오는 11일부터 매달 둘째, 넷째 목요일에 노인회원을 위해 보청기 점검 및 상담, 청력 검사 등을 제공한다.   김가등 회장은 “귀가 잘 들리지 않는 것을 방치하면 우울증, 알츠하이머, 심장병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연로한 부모가 계시면 노인회관에 모시고 와 좋은 기회를 이용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80년 역사를 지닌 벨톤(Beltone) 보청기도 노인회와 제휴, 매달 첫째, 셋째 목요일에 출장 봉사에 나선다. 노인회는 최근 식품 무료 배포 횟수를 월 2회에서 3회로 늘렸다.   세컨드하비스트 OC푸드뱅크를 통한 식품 배포는 매달 둘째, 넷째 화요일 오전 9시에, 커뮤니티 액션 파트너십과 제휴한 배포는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 오전 9시에 가든그로브 노인회관 주차장에서 각각 이루어진다.   노인회 프로그램 문의는 사무국(714-530-6705)에, 강사 신청 문의는 조셉 조 센터장(714-530-6419)에게 하면 된다. 임상환 기자교육 봉사 식품 배포 봉사 식품 노인회 교육센터장

2023-05-0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